정리 노트

Github 원격 저장소 생성 및 로컬 저장소와 연결 본문

환경 설정 및 설치

Github 원격 저장소 생성 및 로컬 저장소와 연결

꿈만 꾸는 학부생 2022. 7. 6. 21:37
728x90

이 포스트는 국민대학교X프로그래머스 주관하는 '2022학년도 여름방학 인공지능 온라인 실전 부트캠프'에서 배운 내용을 정리하는 포스트입니다.


여러 사람과 같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 아마 매우 높은 확률로 Github를 사용할 확률이 높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번에는 Github에 자신의 repository를 생성해 local repository와 연결하는 방법을 보겠습니다.

Github에 계정이 없으신 분들은 계정을 먼저 만들고 이 글을 이어서 봐주시기 바랍니다.

1. Github에서 repository 생성

Github에 로그인하고 보이는 화면에서 오른쪽 위를 보면 '+' 모양이 보일 텐데 클릭하면 'New repository'가 보입니다. 거기를 클릭합니다.

로그인 후 오른쪽 위의 아이콘들

새로 만들 repository의 이름을 정하고 밑에 설정을 원하는 대로 한 후 밑의 'Create repository'를 클릭합니다.

repository 생성 페이지

생성하면 아래와 같이 주소가 보일텐데 그 주소를 어딘가에 복사해둡니다. 나중에 터미널에서 Github의 repository와 연결할 때 사용됩니다. '.git'까지 다 복사해야 합니다!

github의 repository 주소

2. Github의 repository와 연결하기(CLI)

터미널을 켜고 Github에 만든 repository를 가져올 장소로 이동합니다. 그다음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user@<your_name>:~/바탕화면$ git clone <your_repository_address>
<Your_Repository_Name>에 복제합니다...
warning: 빈 저장소를 복제한 것처럼 보입니다.

물론 아무것도 없는 repository를 가져왔으니 저 warning 메시지가 나올 것입니다.

clone이 끝나면 새로 만든 repository의 이름으로 directory가 하나 생성됩니다.

user@<your_name>:~/바탕화면/<Your_Repository_Name>$ ls
user@<your_name>:~/바탕화면/<Your_Repository_Name>$ ls -a
.  ..  .git

directory로 이동하면 아무것도 없어 보이지만 숨김 파일까지 살펴보면 '.git' 디렉터리가 있습니다. clone이 무사히 되었다는 증거입니다.


이제 여기에서 작업을 하고 commit과 push, pull을 할 수 있습니다. 디렉터리에서 git을 사용하는 방법은 아래의 글들을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2022.07.05 - [개념 정리] - Git(1)

2022.07.06 - [개념 정리] - Git(2)

728x90

'환경 설정 및 설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MySQL 실습을 위한 세팅  (0) 2024.01.24
scikit-learn 설치(Ubuntu 20.04.4 LTS)  (0) 2022.06.24
Anaconda3 설치(Ubuntu 20.04.4 LTS)  (0) 2022.0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