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스택
- Regression
- 재귀
- 운영체제
- GIT
- Heap
- LSTM
- googleapiclient
- 국민대
- Seq2Seq
- C++
- Stack
- kmu
- gan
- PANDAS
- 국민대학교
- 데이터베이스
- OS
- Python
- 파이썬
- db
- programmers
- python3
- 정렬
- 프로그래머스
- SQL
- machine learning
- 머신 러닝
- 회귀
- instaloader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state-space tree (1)
정리 노트

이 포스트는 국민대학교 소프트웨어학부 '알고리즘' 강의를 듣고 요약하는 포스트입니다. 원하시는 정보가 없을 수도 있습니다. 이 점 유의 바랍니다. 오류 지적은 매우 환영합니다! Backtracking이란? Backtracking(백 트래킹)은 해답을 구할 수 없는 경우가 나온 경우, 더 진행하는 것을 포기하고 이전 상태로 되돌아가서 다른 경우를 찾는 방법을 말합니다. 흔히 생각할 수 있는 예시가 '미로 찾기'입니다. 미로를 빠져나가는 방법들 중에서 가장 많이 알려진 방법이 '우수법' 입니다. 오른손으로 한쪽 벽을 짚으면서 걸으면 무조건 미로를 빠져나갈 수 있는 방법입니다. https://youtu.be/YS4ng_vKr7o?t=89 우수법으로 나아가는 과정이 백트래킹과 같다고 생각이 됩니다. 위와 같은 ..
개념 정리/알고리즘
2022. 11. 13. 11:57